Tools9 <Docker> 도커 가상네트워크 # 가상네트워크도커 가상네트워크는 컨테이너 가상화와 비슷하다.컨테이너 가상화가 물리적 OS를 논리적으로 분리해서 가상화 했듯이,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분리해서 가상 네트워크로 구성하는 것이다. 위 그림처럼, 가상네트워크는 사설IP주소를 사용하는 서버에 가상의 네트워크 브릿지를 생성하고, 각 컨테이너에 가상의 IP를 할당한다.이렇게 하면 같은 브릿지 내에서 가상의 IP를 받은 컨테이너끼리는 통신이 가능해진다. # 인터페이스네트워크의 기본을 생각해보면, 각 서버가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랜선을 꽂아야 한다.랜선을 꽂는 물리적 포트를 인터페이스라고 하는데, 가상 네트워크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가상네트워크의 컨테이너끼리 통신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컨테이너가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가져야 하는데,컨테이너가 가상의.. 2024. 10. 21. <Docker> 네트워크 기본 # 네트워크네트워크란 쉽게 말해 PC 등의 기기 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을 말한다.각 PC나 태블릿, 핸드폰 같은 기기는 고유의 IP 주소를 갖고있으며, 특정 IP -> 특정 IP로 정보를 보내 통신하는 것이다.집과 편지에 비유하면, 집주소가 IP주소, 편지가 정보가 된다. # IPIP주소는 공인, 사설 IP로 구분된다.공인 IP주소는 전세계가 함께 사용하는 주소이며, 8바이트 4자리 숫자로 구성되어있다. (ex 192.148.10.0)우리가 흔히 인터넷 이라고 부르는 네트워크는, 각자의 집이나 회사에서 공인 IP주소를 할당받아 외부와 통신하는 것이다. 하지만 공인 IP주소는 사용해야할 기기 대비 갯수가 부족할 수밖에 없고, 그래서 등장한 것이 사설 IP이다.사설 IP는 할당받은 공인 IP주소.. 2024. 10. 18. <Docker> 클라우드와 컨테이너 # 클라우드클라우드란 내 물리적 환경에 제약없이 사용 가능한 서버를 말한다.대표적으로 MS Azure, AWS, GCP 정도가 존재하며,이 회사들이 자체적으로 물리적 환경으로 구축한 컴퓨터를 우리가 공간 제약없이 일정 요금을 내고 빌려쓰는 개념이다. 클라우드는 개인적으로도 사용 가능하며, 일반적으로는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서버를 구축하고 유지보수하는 비용부담을 덜기 위해클라우드 회사에 요금을 지불하고 서버를 사용하게 된다. 때문에, 클라우드를 사용할 때에는 비용 최적화가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된다. # 클라우드와 MSA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는 모놀리식 아키텍처와 MSA(마이크로서비스아키텍처) 로 분류할 수 있다.모놀리식 아키텍처는 하나의 서버에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기능을 다 담는 구조,MSA는 기.. 2024. 10. 16. <Docker> 이미지 빌드 지시어 # Dockerfile 지시어(기본) FROM 이미지명(필수)빌드하려는 이미지의 베이스 이미지를 지정이미지 커밋에서 기존 컨테이너 실행 후 컨테이너레이어의 Write 작업을 기반으로 새로운 이미지를 빌드한 것 처럼,기본적으로 실행할 컨테이너를 위한 베이스 이미지가 필요함COPY 빌드컨텍스트경로 복사할경로원하는 파일을 레이어에 복사새로운 레이어 추가RUN 명령어컨테이너 안에서 명령어를 실행하고, 결과를 새로운 레이어로 저장CMD ["명령어"]컨테이너 실행 시 명령어 지정컨테이너 실행할 때에만 실행되므로, 별도로 이미지 레이어에 추가되지 않음명령어 지정 시 이미지 메타데이터의 CMD 필드에 저장됨 # Dockerfile 지시어(시스템) WORKDIR 폴더명작업 디렉토리를 지정하고, 레이어를 추가이 지시어가 .. 2024. 10. 14.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